안녕하십니까?
오늘은 ION BAR 중에서 오랜 기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SIB3-RD Series”
에 대하여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 만큼 튼튼하고 수명이 길며 성능이 좋다는 얘기겠죠?
제품 매뉴얼에 자세한 설명이 있겠지만, 대부분 페이지 수가 많은 매뉴얼을 전부 다 읽어보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에, SIB3-RD Series(이하, SIB3-RD라고 표시)의 중요한 특징과 실제 사용에서 필요한 기능/옵션에 대하여 자세히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온 바
(ION BAR)
를 사용하시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사용 환경입니다
.
아무리 성능이 좋은 이온 바(ION BAR)라 하더라도 그 사용에 소홀함이 있으면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 않겠죠?
사용 前에는 필히 아래와 같이
Air Filter
를 장착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 SIB3-RD
의 제품
Line up
과 제품별 방전
PIN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600mm 이하 모델이 있지만, SIB7-360, 540 등의 모델이 있기에 이 부분은 생략하겠습니다.)
SIB3-RD의 제품 Line up 과 제품별 방전 PIN 수
Tip
: 2500mm
이상의
Size
는 휨 문제와
Air
압 저하 등의 부분
,
설치
(
운반
)
등의 불편함이 있으니
2
대로 나눠서 설치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
물론
,
휨 방지를 위해 중간 브라켓을
SIB3-1500RD
이상부터는 기본으로 제공하고는 있습니다
.)
* Air Nipple
: 900mm
이하 모델인
SIB3-600,700,800,900RD
는 왼쪽 투입구 한 쪽만
Air Nipple
이 달려 있고
,
반대쪽은 젠더로 메꿔져 있습니다
.
필요에 따라 직접 위치 변경 가능합니다
.
SIB3-1000RD
부터는 양쪽 모두에
Air Nipple
달려 있으며
,
기본은
ø8
입니다
.
* 방전 핀 소켓의 간격
: 넓은 형태의 대전 물체의 경우 대부분 양쪽 끝(Edge)부분에 정전기 제거가 잘 되지 않아 작업 완료 후 Edge Burnt가 많은 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SIB3-700RD부터는 이온 바(ION BAR) 양쪽 끝부분에 방전 핀 소켓이 좀 더 촘촘히 달려 있습니다.
예시) SIB3-800RD
사용 하시기 전에 자주
Air
소모량
과
소모 전력
을 물어 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에 제품 길이별
Air
소모량과 소모 전력을 다음의 표와 같이 알려 드리니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
< 모델별 소모 유량 >
< 모델별 소모 전력 - Unit : W >
아울러, 제품의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SIB3-RD 제품 기본 구성 >
지금 까지는 제품의 기본적인 사양에 대하여 알아 보았고
,
이제부터는
SIB3-RD
를 실제 사용함에 있어서 조금 더 나은
Performance
를 가지게 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
1. 방전 핀 소켓의 교체를 통한 제전 성능 향상
SIB3-RD
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방전 핀 소켓은 “SIE-3R-4”라고 하는 4WAY 방식의 방전 핀 소켓입니다. 모양은 아래와 같으며,
4WAY라고 하는 것은 AIR가 나오는 Hole이 4부분으로 나눠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ir
가 나올 때 방전 핀을 스치듯이 나오는 데 이 부분도 매우 중요합니다
.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는 이온 바를 써 보셨으면 아시겠지만 이온 바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필수 불가피하게 백화 현상
(=Fuzzy Ball, White Powder
등 같은 의미임
)
이
생기는 데 이 부분을 조금 더 더디게 만드는 역할도 있습니다
.
방전 핀 소켓의 교체를 통해서 제전 성능을 조금 더 향상 시키고 싶다면 다음의 사진과 같이 방전 핀 소켓을 “클린 소켓(Clean Socket)”으로 교체하는 방법입니다.
Air Hole
이 추가적으로 더 확보되어 많은 유량으로 풍부하게 이온 전달을 가속화 시키면 아무래도 성능적으로 좀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오겠죠
?
기본형 보다
20~30%
가량 더 나아진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다만, 반대 급부적으로 많은 유량을 사용하다 보니
, Air
소모량 역시
20~30%
이상 늘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
주파수 조절과 듀티 비
(Duty Rate)
조절을 통한 제전 성능 향상
이온 바
(ION BAR)
는 사용 환경에 따라 설치에의 제약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
이에
대전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주파수를 조절하여 제전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Tip
:
설치 거리가 짧을수록 주파수를 높게 하고, 설치 거리가 멀수록 주파수를 낮게 합니다.
이유 인즉
, “(+)
이온과
(-)
이온의 결합
=
중화
”
때문입니다
.
더 자세한 설명은 길어 질까 봐 다음에 얘기 드리겠습니다.
< SIB3-RD 설치 거리에 따른 추천 주파수 >
또한
,
사용 환경과 대전 물체의 자체적인 특성 등의 이유일 때
,
듀티 비
(
이온 밸런스
)
의 조절을 통하여 제전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
듀티 비
(
이온밸런스
)
설정범위는
40~70%
이며
, Display
창에는
“d-40” ~ “d-70”
으로 표시됩니다
.
즉, 이 조절 기능을 통하여 (+)이온과 (-)이온의 생성량을 조절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3. 방전 전압 조절을 통한 제전 성능 향상
SIB3-RD
는 타사의 교류형 제전기와 비교하여 보아도 방전 전압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방전 전압은 제전 속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집니다. 물론 이온 밸런스와의 관계도 있지만, 생산 속도가 계속적으로 높아지는 상황에 제전 속도는 정말 중요한 부분이다.
Tip
:
제전 속도를 빠르게 하고자 한다면 방전 전압을 높여주면 됩니다
.
다만
,
방전 전압을 높이면 제전 속도는 빨라지지만
,
이온밸런스 값이 조금 나빠질 수 있음
.
그렇지만
,
정전기를 빨리 없애는 편이 더 낫겠죠
!!!
아래의 표는 방전 전압 조절에 따른 제전 속도
(Decay Time)
를
ION BAR
의 위치
/
거리별로 측정한 값입니다
.
( * 300mm 거리에서 방전 전압 8kv 일 때 Decay Time : 0.9초, 12.5kv 일 때 0.2초)
방전 전압 조절에 따른 이온 전류
(Ion Current)
값도 비교해 놓았으니 참조로 하세요
.
< Left / Right : 50mm 측정값 >
< 이온 전류값 비교 >
*
설치거리
100mm
에서
12.5kv
일 때의 이온전류는
8kv
일 때에 비해
36%
정도 높으며
,
거리가 가까울수록 기하 급수적으로 높아집니다
.
따라서 방전 핀에 인가되는 펄스교류의 전압이 높을 수록 짧은 거리 및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대전 물체의 정전기 제거에 매우 유용합니다
.
위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이온 바(ION BAR) “SIB3-RD”
에는 제전 성능을 향상 시킬 많은 기능들이 포함 되어 있습니다. 아무쪼록 부족한 설명이었지만,
조금이나마 실 사용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신형 슬림 이온 바(ION BAR) “SIB4 & SIB4A” Series
에 대하여 대하여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